순천향대 임정균 교수 연구팀, ‘대장암 치료’ 새 지평 열다

‘iRGD 펩타이드-캠토테신’으로 이뤄진 새로운 약물접합체 개발

온아신문 | 기사입력 2024/01/02 [16:06]

순천향대 임정균 교수 연구팀, ‘대장암 치료’ 새 지평 열다

‘iRGD 펩타이드-캠토테신’으로 이뤄진 새로운 약물접합체 개발

온아신문 | 입력 : 2024/01/02 [16:06]

▲ 임정균 순천향대 나노화학공학과 교수  © 온아신문

 

순천향대학교(총장 김승우) 나노화학공학과 임정균 교수팀이 암세포에 선택적으로 약물을 표적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접합체를 개발, 대장암 치료에 새 지평을 열어 눈길이다.

 

우선 약물접합체는 약물을 세포 내로 쉽고 빠르게 전달시킬 수 있는 유기물로 이뤄진 약물전달체로, 암의 치료를 위한 화학요법은 암세포의 빠른 성장을 억제하거나 암세포들을 사멸하기 위해 강력한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약물 치료법이다.

 

보통 암 환자는 세포를 파괴할 수 있는 강력한 약물을 복용하거나 투여 받는데, 이러한 약물들은 암세포와 정상세포를 구분하지 못해 암 환자의 혈류를 따라 온몸에 퍼져 특정 질환·종양 부위에 약물의 농도가 낮게 분포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항암 약물은 온 몸을 돌며 건강한 정상세포도 손상시키며 △메스꺼움, 피로, 감염 △모근의 세포 및 모낭의 손상으로 인한 탈모 △구강염, 치아 문제, 소화기 계통 등과 같은 부작용을 가져오기도 한다.

 

또 암세포에 대한 약물의 침투 농도가 낮아서 환자는 약물을 장기간 투여할 필요가 생겨 약물 내성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임정균 교수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점에 주목해 기존에 널리 쓰이는 항암제인 ‘캠토테신’을 암세포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약물전달체 개발에 초점을 맞췄다.

 

이에 연구팀은 암세포 침투가 가능하다고 알려진 'iRGD 펩타이드'를 활용해 항암제를 펩타이드와 결합시킨 가운데 이를 위해 'iRGD 펩타이드'와 '캠토테신'을 연결시켜줄 수 있는 새로운 링커와 'iRGD 펩타이드-캠토테신'으로 이뤄진 새로운 약물접합체를 개발한 것이다.

 

이러한 약물접합체는 기존 약물 단독보다 대장암 세포에 30분 내로 빠르게 투과했고, 대장암 세포 안으로 약 30배 이상의 농도로 침투해 대장암 세포의 사멸을 효과적으로 발생시켰다.

 

여기에 약물접합체를 정상세포에 주입했을 때 항암제가 정상세포 안으로 침투를 못해 정상세포의 손상을 막았다.

 

연구팀은 대장암 환자로부터 이종이식된 대장암 쥐에게 약물접합체를 20일 동안 투여한 결과 기존 약물접합체에 의한 종양 억제율이 약물단독 투여인 경우보다 20%에서 45%로 2배 이상 증가해 새로운 약물접합체가 동물실험에서도 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입증했다.

 

임정균 교수는 "대장암 치료에 있어 약물접합체를 사용할 경우 환자는 기존 항암제의 투여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대장암 환자의 약물에 대한 부작용과 내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향후 대장암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앞으로의 연구는 대장암뿐만 아니라 대장암 복막 전이 치료에도 확대해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연구 결과는 최근 '대장암 치료를 위한 종양 유도 펩타이드 iRGD-접합체의 캠토테신의 종양 내 축적의 향상'이란 제목으로 국제학술지 European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IF: 6.7, 약학 분야 상위 11% 내, 2022 JCR 기준) 12월호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또 이번 발표된 연구 결과에서 약물접합체의 설계와 개발은 순천향대 나노화학공학과 임정균 교수팀, 항암효과 측정 및 동물실험은 순천향대 천안병원 전섭 교수팀이 공동연구로 진행된 가운데 한국연구재단 기본연구 및 한국연구재단 4단계 두뇌한국21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 도배방지 이미지

순천향대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